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화포와 범선 16세기부터는 화포를 싣기 위해 측면 포문이라는 해결책이 나왔다. 영국인 제임스 베이커 James Baker 다 생각해 낸 놀라울 만큼 간결한 아이디어로, 화포를 하갑판에 설치하고 선체 측면에 포문을 만들어 화포를 발사할 수 있도록 장치한 것이었다. 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경첩이 달린 덮개로 포문을 닫아 놓았다. 이 방식을 적용해 만든 최초의 배가 그레이트 해리 Great Harry 호다. 프랑스어 공식 명칭이 '앙리 그라스 아듀 Henry Grace a Deil'이었던 이 배는 1514년 영국 왕 헨리 8세의 선단 사령선으로 제작되었다. 무게 1000톤 이상의 대형 범선이었지만 돛대가 총 4개로 앞 돛대와 주 돛대에는 사각 돛을, 쉿 돛대와 보나벤투라에 종범을 설치한 점에서는 여전히 중세 범선에 기초.. 2022. 10. 5.
바이킹의 배들 민족 특유의 진취적인 경향으로 활발한 탐사 항해에 나선 북유럽의 새로운 해양 강국들 덕택에, 16세기에 이르러 범선과 관련된 기술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저명한 항해사 레인은 이와 관련, 다음과 같이 서술했다. “옛날 뱃사람에게 범선의 삭고 장치는 아주 희한해 보일 테지만... 위대한 개척의 시에 대, 혹은 한 세대 이전의 배를 지휘하던 선장은 넬슨 제독이 활약하던 시대로 가서 배를 지휘하게 된다. 해도 새로운 기술을 익힐 필요가 거의 없을 것이다. 삐거덕거리며 앞으로 나아가는 거대한 호두나무 껍질과 다를 바 없는 코 그, 노가 복잡하게 뒤얽혀 험한 바다에서는 도무지 항해할 수 없는 갤리선, 그리고 흘수선이 높아서 꼴사나워 보이는 캐러... 이렇게 구조적 과잉 상태였던 중세 범선들이 신세계를 향.. 2022. 10. 4.
노젓는 배 캐러 벨 리 포르투갈에서 유래했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포르투갈의 항해왕 엔히크가 아프리카 해안으로 원정을 떠날 때 탄 배도 캐러멜이다. 그가 탄 배의 정확한 크기는 알 수 없지만 작은 편인 산타마리아호보다 작았다는 사실, 즉 갑판 길이가 20미터도 안 됐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기술적으로는 특별히 흥미로운 점이 있다. 캐러멜은 측면이 낮고 흘수가 않으며 배 폭이 상당히 좁고 배수량이 적었다. 이물에 있는 흘수선은 매우 섬세하고 움푹 들어간 모양이고 고물은 각형 角形으로 되어 있었다. 돛대는 2개였는데 가끔 고물 늑판 위에 쉿 돛대를 세워 3개일 때도 있었다. 그런 경우 쉿 돛대에 치는 돛(세로돛)은 밧줄로 범민(돛을 펴기 위해 선체에서 뻗어 나온 막대기)에 묶었다. 돛은 삼각돛을 썼다. .. 2022. 10. 4.
갤리온과 상선 캐럴은 자신의 직계 후손인 갤리온이 출현하기 전까지 200년간 대표적인 상선으로 손꼽혔다. 주로 지중해에서 베네치아와 제노바 사람들이 운영했고, 스페인과 포르투갈 사람들이 탐사나 무역을 위해 대서양 일대로 떠날 때도 많이 사용했다. 캐럴은 당대 조선술의 최고봉이라고 할 수 있다. 선미가 둥글고 키가 경첩으로 고정된 선미재 위로 널빤지가 튀어나와 있다. 이물과 고물의 선루는 간단한 대에 난간이나 그물을 둘러친 가벼운 구조물로 바뀌어, 배의 양 끝에 부담을 주지 않고 더 빠르게 질주할 수 있도록 했다. 앞에서 언급한 파치가니 그림에서 볼 수 있듯 캐럴의 삭고를 엮어두는 돛대는 2개로 주 돛대와 뒷동대로 나뉜다. 그러나 나중에는 전통적인 3개의 돛대로 이루어진 장치를 도입했다. 이 시기에 이르러 추진력의 수단.. 2022.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