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지중해의 배들 그리스와 크레타의 배는 바다를 건너기에 다소 부적절했던 이집트의 원시적인 배를 대체한 모델이었다. 그리스인 선박 기사와 기술자들 덕택에 10세기 이후 조선술은 국가 경제의 중요한 요소로 부상했다. 오랜 시간 동안 조선술의 중심지로서 우수한 기술을 자랑했던 코린트에서는 조선 창을 두고 배를 대량 생산했다. 아테네의 경우 1년에 노가 3단으로 된 갤리선 360척, 4단으로 된 갤리선 50척, 5단으로 된 갤리 galley 선 7척을 제조했다. 앞에서 인용한 뒤에 묘사된 조선술은 널빤지를 구조재로 사용하는 이집트식 방법을 기초로 하되, 널빤지 사이를 연결하는 법을 개선하여 선체를 훨씬 단단하게 만드는 방식이었다. 즉 여러 개의 배밑판을 나무 핀으로 뼈대에 고정하고 장부 구멍과 장부로 이음매를 조이는 것이다. .. 2022. 10. 3.
이집트의 배 이집트의 배는 나일강의 잔잔한 물을 벗어나 사나운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로 과감하게 진출했다. 왕국이 번영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인 무역을 원활히 하고 상품과 재물을 운반하기 위해서였다. 이 과정에서 조잡한 데다 단순한 활 모양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이집트 선박은 구조적으로 적절하지 못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이에 선박 제작자들은 기존 기술과 재료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깜짝 놀랄 만큼 간단한 해결책을 마련했다. 식물의 줄기를 열어 가다가 꼬아 만든 굵은 밧줄로 배 앞뒤를 연결하는 방안이었다. 이렇게 밧줄을 꼬아 만드는 방법은 섬유 노끈 가운데 나무 막대기를 끼워 넣는 기법에서 유래했다. 밧줄은 활 모양의 선체에 적절한 하중을 가하여, 파도에 부딪혀도 모양이 변하지 않을 정도로 배를 튼튼하게만 들.. 2022. 10. 3.
항해의 역사 항해의 역사는 위대한 문명의 발생기부터 인류의 역사와 평행선을 달렸다. 강과 바다를 이용한 수상 교통의 발달이, 문명의 탄생과 발달을 방해하기보다는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인류가 정착 생활을 시작한 시기에서부터 18세기의 산업혁명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사회 변동은 모두 물과 가까운 곳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현상이 보편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우연히 맞아떨어진 것이라 기보다는 육로보다 수로를 통한 이동이나 운송이 더욱 쉽고 편하다는 사실을 사람들이 알아냈기 때문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우리 선조들은 흐르는 물에 나뭇가지가 아주 빠른 속도로 흘러가는 모습을 봤을 것이다. 물 위에 떠서 흘러가는 나뭇가지를 잡으면 별 힘을 들이지 않고 하류로 같이 떠내려갈 수 있다는 사실도 알아냈을 것이다. .. 2022. 10. 3.
범선이란? 범선은 바람을 추진력으로 사용한다. 자연현상인 바람은 대지의 생활과는 무관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새로운 땅을 발견하고, 그곳에서 나는 과실을 운송하자면 바람이 꼭 필요하다. 바람은 바다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자연현상이다. 인류는 오랜 세월 바람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바람이 불어도 묵묵히 견디기만 했다. 하지만 차츰 사람들은 바람을 이로운 방향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작은 배에 돛을 달고 유일한 동력 원인 순풍을 초조하게 기다렸다. 그렇게 수 세기가 흘렀다. 그러던 어느 날 보다 효율적인 장비를 갖춘 크고 안전한 배를 몰면서 인류는 바람을 정복하는 법을 익혔다. 진정한 의미의 범선과 선원은 18세기에 출현했다. 그로부터 250년 동안 돛을 가득 단 배들이 세상을 .. 2022.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