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유럽의 선박들 북유럽 선박은 이어대기 공법이었으며 선체가 높고 양 끝이 점점 가늘어졌다. 측면에 키가 하나 있고 돛은 사각형이었다. 이런 특징들을 기초로 중세 후기의 대표적인 범선이 탄생했다. 북유럽 인근 해역에서 흔히 보던 이 배는 얼마 후 더 멀리 떨어진 지역의 조선술의 영향을 미쳤다. 상업 수요가 늘어나 북유럽 사람들이 배를 몰고 지중해로 나가고 제노바 사람들 또한 영국의 항구로 몰려간 덕택이었다. 이런 과정에서 타사 한배가 바로 '코크'이다. 이 13세기부터 수많은 문장 紋章에 등장한 배의 모습에는 바이킹의 영향이 뚜렷이 나타나 있다. 이 무렵의 배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 2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윈체스터 성당에 있는 12세기 후반의 세례반先禮盤에 새겨진 부조이며 다른 하나는 스웨덴 고틀란드에 있는.. 2022. 10. 4.
돛과 밧줄 도로 문은 돛대가 약간 앞으로 기울어지고 돛대를 지탱하는 밧줄을 조절하는 장치가 있었다는 점에서, 동시대의 북유럽 범선과는 달랐다. 바람을 거슬러 항해할 때는 삼각돛을 정면으로 올려 돛대에 내놓은 밧줄에 구애받지 않게 하고, 밧줄은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으로 느슨하게 풀어서 뜻이 배 중앙에 놓이도록 조절했다. 반대로 바람을 거슬러 가야 할 경우에는 조종하기가 복잡했다. 먼저 돛의 앞뒤 끝을 조절하는 밧줄 각각의 명칭은 택 tacks와 시트 sheets를 느슨하게 하고 활대의 마룻줄을 약간 풀어준 다음, 선원 한 사람이 활대를 돛대와 수직이 되게 내린다. 이렇게 하면 돛이 바람을 받아 뱃머리 쪽으로 부풀어 오른다. 키잡이는 계속 바람의 역방향으로 선로를 돌리고 선원은 고물 쪽에서 돛을 조절하는 밧줄을 당긴다.. 2022. 10. 4.
조선술의 발전 자잘한 변화를 거치기는 했지만 이런 유형의 배는 이후 1000년 가까이 지중해 곳곳을 누비며 임무를 수행했다. 그리스와 페니키아의 전통을 토대로 조선술도 계속 발전했다. 로마 배에서도 여전히 선체를 이룬 널빤지가 구조재 역할을 했다. 널빤지의 재료로는 전나무, 소나무, 백향목 등을 사용했는데, 이들을 연결할 때는 틈새를 메우는 일반적인 방법이 아니라 전통적인 장부 맞춤법을 사용했다. 선체 바닥에는 바다 생물이 뚫고 들어오지 못하도록 송진에 적신 천을 깔고 그 위에 납을 입혔으며, 흘수선 위로 색소를 넣은 밀랍이나 검은 송진을 한 번 더 발랐다. 바닥과 늑대와 내 용골은 참나무로 만들어 구리 못으로 선체에 연결하고, 위쪽에는 단단한 나무로 만든 핀을 박았다. 돛은 아마포로 만들었다. 삭고는 대마나 파피루스.. 2022. 10. 3.
로마의 선박 로마인들의 항해 방식과 기술은 근대까지 변함없이 이어졌다. 예를 들면 그 이전까지만 해도 도시에서 내려다보이는 해변에 지나지 않던 항구는 로마 시대에 비로소 통상적인 역활과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특히 오스티아 항은 로마의 발전에 필요한 상품을 공급하기 위해 지중해 전역에서 출발하여 하나로 모이는 무역 항로의 종착지가 되었는데, 이를 위해 건설 수요가 급증했다. 항구를 오가는 선원과 상인에게 숙소를 제공하기 위해 거대한 건물들이 세워져 벌집처럼 사람들로 꽉꽉 들어찼다. 이런 건물의 1층에는 보통 상점과 도덕성이 의심스러운 선술집이 성황을 이루었다. 오스티아에만 적어도 70개 이상의 회사가 생겨났는데, 그들의 활동 명세를 보면 지금의 수출입 상사쯤 된다고 할 수 있다. 회사와 함께 조합도 설립되어, 해운.. 2022.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