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

바다의 귀부인들 범선이 탄생한 시기를 정확하게 판별하기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매우 어려운 일이다. 범선이 서서히 쇠퇴하다가 밑바닥으로 추락한 시점이 언제인가 하는 것도 명확히 말하기 어렵다. 다른 배들이 회피하는 일부제 역의 무역 항로에서는 여전히 느리고 육중한 범선이 오갔기 때문이다. 범선의 최후를 선포한 구체적인 사건을 언급할 수는 없어도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흰 돛을 단 범선 대신 시커먼 연기를 내뿜는 증기선이 해운업의 발. 전을 이끌었다고 말하는 데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듯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부터 20세기가 저물 때까지 범선이 사라지는 결과를 불러온 원인은 운송비용에 있었다. 무엇보다 기계 추진 장치의 영향이 컸다. 사실 기계 추진 장치는 새 세기를 앞둔 시점까지도 여전히 안정성이 떨어졌다. 외부에서 연료.. 2022. 10. 12.
미국과 이탈리아의 해운산업 미국과 이탈리아는 SNIA라는 연합 해운회사를 설립하여 다 돛대 스쿠너 18척을 운영했다. 그러나 설계가 형편없고 속도가 느린 데다 추진 시스템도 비효율적이어서 얼마 가지 못해서 회사는 문을 닫고 말았다. 1919년, 남아메리카에서 질산염 무역이 짧은 부| 흥기를 맞이하자 페루의 리마에 위치한 아드미니스 트라더라 델 구아노 사는 독일에서 전쟁 배상 조로 받은 2360톤짜리 드럼클리프 Drum cliff 호에 이름을 바꿔 단 오메가 Omega로(후일 오메가 Omega 호로 이름을 바꿨다), 1675톤짜리 마이포 Ma IPO고, 네덜란드에서 만든 텔루스 Tellus 호를 사들였다. 이 배들은 20세기에는 교역이 뜸했던 상품인 질산염을 싣고 약 40년 동안 태평양 항로를 왕복했다. 더븐비Dovenby 호, 킬.. 2022. 10. 11.
목조범선의 마지막 돛대가 4개인 스쿠너는 특히 성공적이어서 최소 460척 이상이 생산됐다. 반면 돛이 5개 또는 6개인 유형은 선체 길이에 비해 강도가 떨어졌다. 다 돛대 스쿠너는 북아메리카 해안에서 증기선을 제치고 사실상 교역용 운송을 독점했다. 적은 선원으로도 조종할 수 있고, 짐을 싣지 않은 채 항해할 때 바닥에 자갈, 모래 등을 깔 필요도 없었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했다. 다 돛대 스쿠너는 주로 해안에서 가까운 바다에서 활동했으며 때로는 대양을 횡단했다. 예컨대 1876년 아일랜드 시티 Island City 호는 뉴욕에서 출발하여 동쪽에서 서쪽으로 케이프 혼을 우회하여 단 100일 만에 호주에 도착했다. 제1차 세계대전 직후 플로리다주에서 건설 경기 가 호황을 누린 시기에 목재와 건설자재를 운반하는.. 2022. 10. 10.
무역과 증기선 19~20세기에 제작된 범선에서 찾아볼 수 있었던 새로운 특징 가운데 하나는 선체 중앙부에 선루를 세워 주갑판을 사실상 두 부분으로 나눈 점이다. 중앙부 선루는 클리퍼의 갑판실보다 폭이 넓었으며, 때때로 선루 폭이 배 전체 폭과 거의 같은 경우도 있었다. 종종 장교용 선실을 선루에 배치했기 때문에 고물에 위치한 선실에 머무르던 장교들이 이곳으로 옮겨 왔다. 키잡이 역시 배 중앙부로 자리를 옮겨, 예전처럼 선미 갑판에서 타륜을 조종하다가 물에 흠뻑 젖곤 하는 일을 겪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선루에서 후갑판과 선수로 갑판으로 이어지는 통로를 주갑판 위로 설치했다. 파도가 사납게 치는 바다에서 배 이물과 고물 사이를 이동하는 선원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통로였다. 이처럼 마지막 범선들은 강철로 만든 선체에 현 .. 2022.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