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다가 일반적으로 근해에서는 배들이 해안선을 따라 움직이거나 만과 해협으로 들어가기 위해 방향 하를 을 자주 바꾸어야 했다. 앞 스쿠너는 원래 18세기 초반에서 중반 사이에 네 우수 덜란 들에서 만들어진 배로, 북미 대서양 해안 지대 기 문을 따라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스쿠너의 정신적인 여의 고향은 버지니아주 볼티모어다. 이곳에서 무수히 만 많은 민간 무장선, 노예선, 밀수 감시선이 스쿠너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볼티모어 스쿠너는 독자적인 급 양식으로 굳어졌고, 예나 지금이나 대단한 유명세다. 을 누리는 피셔맨 스쿠너 fisherman schooner의 근을 간이 되었다. 다. 최초의 스쿠너는 돛대가 2개였다. 주 돛대는 배 동 고물 가까이 옮겨가고 종범 상부에 개를 앞 돛과 발 개를 주 돛이 있었다. 중간 돛은 없는 경우도 있었고 첫 개를 중간 돛을 달기도 했다. 대신 앞 돛대에는 종종 록 1~2개의 중간 돛을 달았다. 미국의 돛대 2개짜리 스쿠너는 돛대가 뒤쪽으로 급하게 기울어 있었다. 미국에서는 스쿠너가 매우 인기를 끌었는데, 조종하기 쉽고 속도가 빠르며, 바람을 거슬러 나아갈 수 있고, 선원도 아주 필요하지 않다는 점 등이 그 이유였다. 19세기와 20세기 초기에는 스쿠너의 선체가 더 길어져, 결국에는 돛대가 3~6개인(기울기는 아주 작았다) 다 돛대 스쿠너가 탄생했다. 선체 크기는 북미에서 오랫동안 보편적으로 사용된 목조 방식으로 만들 수 있는 최대치에 도달했다. 미국인들은 1902년에 돛대 7개짜리 강철제 스무 너를 진수했다. 이런 형식의 강철 스쿠너는 유일무이했다. 이 배는 일찍이 건조된 범선 중에서도 가장 큰 편이었는데, 돛이 너무 커서 조종하기가 어려웠다. 최후의 대형 다 돛대 스쿠너는 목재와 석탄, 조 분석鳥葉石 무역을 위해 제작되었다고 하지만 이는 별개의 문제로, 상업용만 최후라 할 수 있었다. 19세기 초 유럽 대륙에서는 해양에서는 육지에서는 다양한 나라들 사이에 발생하는 무력 충돌과 그로 인한 호전적인 태도가 사라졌다. 그 무렵 식민지였던 신세계를 정기적으로 왕복하는 항해가 정착됐다. 독립국이 된 신세계의 경제 성장 가능성은 다른 나라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한때 과감하게 대양을 가로지르며 범선은 바람과 파도에 맞서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서서히 정기적으로 운항하게 되었다. 해군 대위였으나 건강상 이유로 책상 앞에서만 일해야 했던 매슈 폰테인 머리 Matthew Fontaine Maury가 18세기 내내 뚜렷한 목적의식 없이 모아둔 선박들의 항해일지 와 보고서, 해안 지대를 관측한 뒤 결과와 해류 등 항해에 관한 엄청난 자료에 매달렸고. 다. 머리의 배경지식은 충분했다. 그는 1844년 〈바람과 해류도 Wind and Current Charts)를 펴냈다. 이 책은 항해에 유리한 기후 조건을 가진 항로를 체 계절로 선별한 사상 최초의 작업으로, 바람의 세 기와 해류 흐름을 지역별로 정리해 놓은 것이었다. 이제 항해는 아이올로스 Aeolu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바람의 신 옮긴이의 자비나 선장의 모험 가적 직관에 의존하는 문제가 아니었다. 전 세계의 항로가 해도에 정확히 기입되었고, 새 세대 범선들이 돛을 올리고 그 항로로 나아갔다. 규모가 작은 서인도 무역선은 우편선으로 바뀌어 대서양을 왕복하며 우편 배달과 여객 수송을 담당해 고 그보다 조금 더 큰 동인도 무역선은 클리퍼로 바 전했다. 19세기 중엽, 우편선은 여전히 프리깃과 똑같은 형태에 삭고 장치뿐만 아니라 형태도 유사해서 자유 깃에서 발전했다는 사실을 금방 알아볼 수 있었다. 눈에 띄게 달라진 점은 선체 내부 설비였다. 우편선 은 상품보다 승객을 수송하는 배였으므로 항해하는 내내 양호한 숙소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승객 선 실은 색을 입힌 나무판자를 댄 벽에 세면대와 책상, 책꽂이, 커튼으로 둘러싼 침대가 있어 선장 숙소와 다를 바 없었다. 응접실은 벽에 나무판자를 더 촘촘히 덧대고 마호가니 탁자와 실크 제품으로 장식해 놓았다. 비품과 가구는 런던 시내의 클럽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았다. 수송해야 할 승객이 늘어남에 따라 선박 규모도 커졌다. 서인도 무역선은 500톤을 넘는 경우가 그 물었지만 1840년대 초반이 되자 영국에서는 1000톤에 달하는 우편선을 만들기 시작했다. 새로운 땅을 확보하려는 경쟁 때문에 대서양을 건너는 유럽인이 점점 많아지면서, 미국 동쪽 해안에서는 여러 종류의 크고 작은 경쟁이 벌어졌다. 이미지의 영역인 서부 내륙으로 금광을 찾아 사람이 몰려들자 더 빠르고 새로운 통신수단이 필요해졌다. 그곳으로 가는 사람들은 거리상으로는 멀지만 인디언의 화살 세례를 받을 일이 없는 안전한 노를 이용했다. 뉴잉글랜드에서 출발하여 금광으로 유명한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로 가는 길이었는데, 그 항로는 빠르고 안전한 배의 발달을 촉진했다. 속도와 기동성을 갖춘 볼티모어 스쿠너가 돛대 3개짜리 범선으로 다시 태어나 〈바람과 해류 지도)에 수록된 유리한 항로를 탐험했다. 돛은 변함없이 사각형이었지만 이물이 오목해 보일 정도로 날카로운 모양이었다. 그 배가 클리퍼다. 클리퍼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 분명한 것은 클리퍼가 자른다는 ut 는 뜻의 '클립 clip'에서 유래했다. 는 가설도 있다. 클리퍼는 특유의 날카로운 이물로 파도를 잘라내듯 헤쳐 나가는 모습에서 나온 이름이라고 설명한다. 어느 쪽이 맞든 간에 클리퍼가 아주 빠른 속도로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범선이었다. 클리퍼의 탄생지는 미국이며, 최초로 클리퍼를 설계한 사람은 존 윌리스 그리피스 John Willis Griffith다. 그리피스는 뉴욕에 있는 스미스&다이 먼 Smith & Dimon 조선소에서 일한 이후 유체역학에 적용되는 수학 이론을 필두로 다양한 배경지식을 응용할 수 있었고, 그 결과 배 이물을 날렵하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는 확신에 도달했다.
인류 항해의 역사
댓글